< 'SAS연습200제/날짜다루기와문자다루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SAS연습200제/날짜다루기와문자다루기2

Q_07_01. SAS에서의 날짜 개념 엑셀에서 숫자 ‘1’을 입력하고 [셀서식]-[날짜]를 선택하여 날짜형태로 표시해 보면 “1900-01-01” 로 보이게 됩니다. 엑셀에서는 1900년 1월1일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SAS 에서 날짜는 196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숫자 값으로 표현됩니다. 이 날짜를 '기원'이라 하며, 이후의 날짜는 양의 정수로, 이전의 날짜는 음의 정수로 표현됩니다.1960년 1월 1일을 숫자 0으로 하고, 1960년 1월 2일은 숫자 1로 기억합니다. 그리하여 하루 전인 1959년 12월 31일은 –1, 1년 뒤인 1961년 1월 1일은 366이 됩니다.SAS에서는 내부적으로 기억할 때에는 숫자형으로 기억하여 날짜형 데이터를 다룰 때 “날짜는 숫자변수와 비슷하구나.” 라는 개념으로 이해를 하.. 2025. 3. 28.
Q_07_01. SAS에서의 날짜 개념 엑셀에서 숫자 ‘1’을 입력하고 [셀서식]-[날짜]를 선택하여 날짜형태로 표시해 보면 “1900-01-01” 로 보이게 됩니다. 엑셀에서는 1900년 1월1일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AS 에서 날짜는 196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숫자 값으로 표현됩니다. 이 날짜를 '기원'이라 하며, 이후의 날짜는 양의 정수로, 이전의 날짜는 음의 정수로 표현됩니다. 1960년 1월 1일을 숫자 0으로 하고, 1960년 1월 2일은 숫자 1로 기억합니다. 그리하여 하루 전인 1959년 12월 31일은 –1, 1년 뒤인 1961년 1월 1일은 366이 됩니다. SAS에서는 내부적으로 기억할 때에는 숫자형으로 기억하여 날짜형 데이터를 다룰 때 “날짜는 숫자변수와 비슷하구나.” 라는 개념으로 이해.. 2025. 3. 19.